기간제 교사 호봉 월급 명세서 구분법 현실 총정리

기간제 교사 호봉과 월급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기간제 교사는 임용시험을 합격하지 않고 정교사 자격증만 갖고 학교 내에서 근로하는 교사입니다.

단기 계약직이라 생각하면 되고 보통은 다른 정교사가 육아휴직과 같이 자리를 장기간 비웠을 때 그 빈자리를 기간제 교사 자리로 채우기도 합니다.

이런 기간제 교사는 기간제 교사로 일을 하면서 임용시험 공부를 해서 정교사로 전환하는 케이스도 많은데요.

기간제 교사는 월급이 어느 정도이고 정교사 전환 시 호봉은 인정 받을 수 있는지? 이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기간제 교사가 되려면 우선 교육 대학이나 사범대를 나와서 교직 과정 전공을 이수하고 졸업, 혹은 교육 대학원 석사를 취득하면 정교사 2급 자격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정교사 2급 자격증만 있다면 국공립 학교 기간제 교사 채용공고를 보고 지원하여 기간제 교사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곳은 인맥을 통해 계약직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채용공고를 통해 지원자를 모집하는 편이며 시험을 치는 곳도 있습니다.

기간제 교사는 월급을 얼마나 받을까요?

기간제 교사든 정교사든 똑같이 호봉에 따른 기본급에 수당을 받기 때문에 월급의 차이는 크게 없다고 보면 됩니다.(기간제 교사도 호봉 계속 오름)

대신 기간제 교사가 정교사 보다 월급을 더 받아 가는데 이는 연금으로 빠지는 금액 때문이며 정교사는 공무원 연금으로 9%를 떼지만 기간제 교사는 국민연금으로 4.5%를 떼기 때문에 월급으로만 보면 기간제 교사가 조금은 더 많이 받습니다.

실제 기간제 교사가 받는 월급명세서를 정리해 봤습니다.

  • 급여
    • 기본급 – 265만 원
    • 정근수당 가산금 – 5만 원
    • 정액급식비 – 15만 원
    • 교직수당 – 25만 원
    • 연구비 – 6만 원
  • 급여 총계 – 316만 원
  • 공제
    • 소득세 8만 원
    • 지방소득세 8,000원
    • 국민연금 – 13만 원
    • 고용보험 – 3만 원
  • 공제 총계 – 24만 원
  • 실수령액 – 292만 원

여기에 초과근무를 조금 하면 월급이 더 올라갈 수 있습니다.

기간제 교사가 정교사로 전환이 가능 할까요?

기간제 교사가 정교사 전환이 되는 경우는 사립학교에 해당되는 얘기입니다.

국공립 학교는 임용에 합격하여야만 정교사로 일할 수 있으며 사립 학교는 임용에 합격하지 않아도 사립학교 내 정규직으로 정년까지 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사립학교 정교사들은 내정자가 있기 때문에 기간제 교사 경력이 있더라도 정교사 전환을 잘 안 시켜 주는 경우가 많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기간제 교사로 일 했던 경력을 호봉으로 인정 받을 수 있을까요?

당연히 인정 받을 수 있고 사범대 졸업 후 9호봉으로 시작하여 기간제 교사를 2년 해서 11호봉이 되었고 정교사를 합격하여 일을 시작하면 그대로 11호봉, 혹은 해가 넘어 갔을 때 12호봉부터 그대로 이어서 근무를 하게 됩니다.

기간제 교사인지 정교사인지 구분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예전에는 담임이면 정교사다. 이런 말이 있었으나 요즘에는 정교사 기간제 교사 구분 없이 나이가 어린 교사는 담임을 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담임 여부로 정교사 기간제 교사 구분하는 건 어렵고

국공립이면 정교사인 경우가 거의 70% ~ 80% 이상이고 사립이면 기간제 교사일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사립 특성상 기간제 교사 없이 굴러갈 수 없음, 그래서 많음)

사실상 기간제 교사인지 정교사인지 정확하게 구분하는 방법은 행정실 직원(혹은 행정실 직원의 가족)이 아닌 이상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업무부터 급여(기여금이 빠지는지 안 빠지는지?), 모든 게 동일한 수준이기 때문에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딱히 없습니다.

기간제 교사는 비정규직계의 왕이라 불릴 정도로 비정규직이지만 처우나 대우, 급여 수준은 정규직에 가까운 게 현실입니다.

또한 이직도 쉽기 때문에 다른 학교에 가고 또 다른 곳에 가고 이런 게 쉬워서 학교에 딱히 비위를 맞춰줄 필요도 없기에 비정규직의 설움이랄 것도 없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쉽게 쉽게 이직하는 것도 나이가 30대까지지 40대 부터는 기간제 교사를 잘 채용해 주지도 않고 뽑았던 사람 계속 쓰는 경우가 많으며 고용 안정성이 낮다 보니 임용을 통해 정교사가 되는 걸 목표로 삼는 게 좋습니다.

물론 50대 기간제 교사도 있지만 교과 과목이 아닌 경우가 많아서 교과 과목은 40대 이상 기간제 교사를 잘 써주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로 스크롤